여성가족부는 2019년 기준 국가성평등지수와 지역성평등지수 측정 결과를 1월 21일(목) 발표했다.
측정 결과에 따르면, 2019년 국가성평등지수는 73.6점으로 2018년(73.1점) 대비 0.5점 상승하였고, 지역성평등지수는 76.4점으로 2018년(75.7점) 대비 0.7점 상승하는 등 매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국가와 시‧도별 성평등 수준을 파악하여 성평등 관점에서 정책 추진방향을 수립하고, 분야별 과제를 점검하기 위해 2010년부터 매년 국가와 지역의 성평등 정도를 조사하여 발표하고 있다.
성평등지수는 성평등한 사회참여, 여성의 인권‧복지, 성평등 의식‧문화 등 3개 영역, 경제활동‧복지‧가족 등 8개 분야로 구성되며, ‘완전한 성평등 상태’는 100점으로 산정된다.
영역별 성평등 수준은 여성의 인권·복지 영역(79.2점)이 가장 높고, 이어서 성평등 의식・문화 영역(74.5점), 사회참여 영역(69.2점) 순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의사결정 분야 점수가 ‘18년 36.2점에서 ’19년 38.1점으로 가장 크게 상승하였다. 이는 정부위원회 위촉직 위원 및 4급 이상 공무원 여성 비율이 증가한 영향이다.
안전 분야는 사회안전에 대한 전반적 안전 의식 지표가 크게 개선되면서 ‘18년 64.9점에서 ’19년 66.7점으로 상승하였다.
가족 분야는 남성 육아휴직자가 지속 증가한 데 힘입어 ‘18년 61.2점에서 ’19년 62.8점으로 상승하였다.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성평등지수는 전국 16개 지역의 성평등 수준을 상위‧중상위‧중하위‧하위 등 4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상위지역은 광주, 대전, 부산, 제주(가나다 순), 하위지역은 경남, 경북, 전남, 충남(가나다 순)으로 나타났다.
2018년과 비교해 보면, 광주가 중하위에서 상위 지역으로 가장 크게 상승하였고, 대전은 중상위에서 상위 지역으로 상승하였다. 반면, 대구와 서울은 상위에서 중상위 지역으로 하락하였다.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은 “정부에서 여성 대표성 제고, 일‧생활 균형 등의 정책을 적극 추진한 결과 성평등 수준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분야별 편차가 여전히 크다.”라며,
“의사결정, 안전 등을 포함한 모든 분야의 성평등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일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들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 아울러,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하고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가성평등지수 개편도 추진 중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경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현식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