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VR 비대면 현장실습 도입…산업구조 변화 맞춤형 인재 양성


정부가 증강현실(AR)·가상현실(VR)을 활용한 비대면 현장실습 도입과 공유대학 체계 구축 등을 담은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 수정안을 내놨다. 

국가산학연협력위원회는 17일 ‘제1차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 수정(안)’을 발표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산학연 협력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국가산학연협력위원회는 지난 2018년 10월 11일 출범하면서 제1차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2019∼23)’을 수립했었다.

이를 통해 산학연계 교육과정 확산, 공공부문 기술 이전·사업화 활성화, 창업 친화적 환경 조성, 산·학·연 협력공간 조성 등 산학연협력의 양적 확대 등 일정 성과를 도출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 도래, 한국판 뉴딜(디지털, 그린) 추진에 따른 기술발전 및 산업구조 변화에 대비한 새로운 인재양성,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코로나19 이후 비대면·디지털 대전환에 대비하고 지역사회 혁신 및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산·학·연 역할을 모색, 수정안을 내놓게 됐다.

이번 수정안은 기존의 ‘사업별, 과제별 성과관리’ 방식을 변경, ‘산학연협력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 달성’을 위한 거시적 목표를 설정하고  산학연협력 활성화를 통해 높은 경제성장을 달성하고 있는 ‘주요 선진국 그룹’ 진입을 중장기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목표달성 정도 및 연도별 추진실적을 매년 점검하고 산학연협력 활성화 기여도가 높은 보완 필요과제를 지속 발굴·관리한다.

이번 방안은 ‘4대 전략 및 12대 주요과제’ 체계를 유지하되, 세부과제별 수정·보완했다. 보완과제 23개, 추가과제 21개가 포함됐다.  

먼저 ‘산업교육 다양화·내실화를 통한 창의적 인재양성’의 전략에는 보완과제 3개, 추가과제 5개가 더해졌다.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및 직업세계를 반영한 초·중·고 진로교육을 강화하고 대학생의 AR·VR 현장실습을 도입한다.  

공유대학 체계를 구축, 다양한 수준의 신기술분야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부처별 대학원 과정, 훈련 프로그램과 연계한다. 2021년 신규로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이 추가돼 48개교에 832억원이 투입된다.  

또한 비대면·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구조 개편, 신직업 육성 등 변화를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미취업자·실직자의 직무교육 및 취업기회를 제공한다.

‘잠재기술 이전·사업화를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전략에는 보완과제 5개, 추가과제 6개가 포함됐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연구개발의 행정 부담을 완화하고 대학·출연연 보유 기술을 산업계에 활발히 도입할 여건을 조성한다.  

사장 위기 기술, 아이디어 재발굴을 위한 대학 내 플랫폼을 구축하고 우수기술을 사업화해 국가 R&D 결과물 중 공공성, 혁신성 등이 인정돼 수의계약 대상으로 인정되는 혁신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우수사례를 발굴한다.

이와 함께 국가 R&D 연구자를 대상으로 기술사업화 및 창업 교육도 제공한다.

‘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전략에는 보완과제 9개, 추가과제 4개가 포함됐다.

우수한 창업 유망팀, 기술기반 실험실 창업 육성을 위한 부처 간 협업을 강화하고 창업 체험 및 준비 공간을 지속 확충한다.

의료·교육·기반기술 등 분야별 비대면 창업과 전문대학 실용기술 기반 창업을 지원하고 창업학기제 활성화 등 친화적 문화를 조성한다.  

‘산학연협력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고도화’ 전략에는 보완과제 6개, 추가과제 6개가 포함됐다.  

지역혁신 플랫폼을 토대로 대학의 인적·물적 자원을 개방·공유하고 지역주력산업(디지털, 그린 등) 및 관련사업 연계를 통한 산학연협력을 활성화한다.

이외 참여 우수기업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정보공유 및 협업체계 구축 등 협력을 지원한다.

수정안은 내년 1월 관계부처 및 지자체에 제출돼 2월 중 초안 마련 및 검토를 거쳐 내년 3월 제6차 국가산학연협력위원회 심의를 받아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2020년 추진실적 및 2021년 시행계획’으로 수립된다.

국가산학연협력위원회는 내년 중 관련분야 위원회 민간위원 합동 간담회를 3∼4회 개최하고 산학연협력 재정지원 간 연계 방안, 산·학·연 간 소통체계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를 추진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경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강희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