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에 ‘현장인파관리시스템’ 시범 실시…인파밀집 위험 예측 대응

위험 수준에 따라 경보 알림…CCTV 등 확인 후 경찰·소방에 즉시 전파

인파밀집을 모니터링해 위험 시 경찰·소방에 즉시 전파하는 ‘현장인파관리시스템’ 시범서비스가 선보인다.


행정안전부는 서울, 부산, 대전 등 5개 대도시의 30개 지역에 ‘현장인파관리시스템’ 시범서비스를 오는 27일부터 12월 15일까지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인파관리시스템은 이동통신사의 기지국 접속정보와 해당 지역의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인파밀집 위험을 예측하기 위해 구축된 시스템이다.


이에 이번에 선정한 중점관리지역 중 30곳에 이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향후 시스템의 미비점을 보완해 연내 정식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인파관리시스템 시범서비스 운영 한컷 이미지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그동안 행안부는 인파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해 시스템 알고리즘 기준을 마련하고, 전기통신사업자에게 기지국 접속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개정했다.


또한 지난 7월에는 중점관리지역 100곳을 선정했고 이어 이동통신 3사와 기지국 접속정보 제공 등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인파관리시스템의 정식 서비스 개시 전에 일부 지역에서 시범적용 기간을 운영하기로 했다.


이 기간동안 실제로 시스템을 사용하는 지자체 상황실 등 담당자 의견을 수렴하고, 시스템의 기능과 성능을 보완해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특히 이 시스템을 통해 지자체 상황실 담당자는 지리정보체계(GIS) 상황판에서 지역의 인파 밀집 정도를 그래픽 형태의 히트맵(heatmap)으로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위험 수준에 따라 위험경보 알림을 받게 되면 CCTV 등으로 현장 위험 상황을 교차 확인한 뒤 경찰·소방에 즉시 전파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중점관리지역은 서울 이태원, 김포골드라인 등 주요 인파밀집 위험지역을 포함한 전국 인파 밀집 지역과 축제지역 등을 대상으로 지자체 수요조사와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심사 위원회를 거쳐 선정했다.


아울러 과학적 심사를 위해 중점관리지역 선정은 대상 지역에 대한 인파 밀집도와 도로 위험도를 기준으로 평가했다.


인파 밀집도는 통신사 기지국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한 단위 면적당 인파의 밀집 정도를, 도로 위험도는 도로의 폭·경사도·길이와 같은 공간 특성과 지하철역·버스정류장 등의 접근성과 승하차 인원 등 교통 특성을 기반으로 수치화한 것이다.


▲ 시범서비스 대상 지역


이용철 행안부 안전예방정책실장은 “인파관리시스템을 실제 현장에서 인파안전관리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번 시범운영을 통해 현장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시스템의 안정성과 활용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경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현아 기자 다른기사보기